사랑을 실천하는 이 시대의 진정한 리더가 되십시오.
건강가정사는 '건강가정기본법' 에 규정된 건강가정사업을 수행하는 전문가로서, 대학에서 사회복지학 가정학 여성학 등 관련교과목을 이수하고 졸업한 자에게 주어지는 자격인증제입니다. 2005년 이후 입학자는 전공에 관계없이 관련교과목을 이수하면 주어집니다.총 12과목 이수하셔야 자격인증 가능합니다.
| 구분 | 교과목 | 대학 졸업 | 대학원 졸업 | |
|---|---|---|---|---|
| 핵심과목 | 건강가정론1), (건강)가정(족)정책론1), 가족상담(및치료)1), 가정(족)생활교육, 가족복지론1), 가족과젠더, 가족(정)과문화3), 건강가정현장실습, 여성과(현대)사회, 비영리기관운영관리 | 5과목 이상 | 4과목 이상 | |
| 관련 과목 | 기초이론 | 가족학, 가족관계(학), 가족법, 아동학, 보육학, 아동(청소년)복지론1), 노년학, 노인복지론1), 인간발달, 인간행동과사회환경1), 가족(정)(자원)관리, 가계경제, 가사노동론, 여가관리론, 주거학, 생애주기영양학, 여성복지(론)1), 여성주의이론, 정신건강(정신보건사회복지)론1), 장애인복지론1), 가정생활복지론, 상담이론, 자원봉사론1), 성과사랑, 법여성학, 여성과문화, 일과가족(정), 사회복지(개)론1) | 4과목 이상 | 2과목 이상 |
| 상담교육등 실제 | 생활설계상담, 아동상담3), 영양상담및교육, 소비자상담, 주거상담, 부모교육3), 부부교육, 소비자교육, 가정생활과정보, 가계재무관리, 주택관리, 의생활관리, 지역사회영양학, 프로그램개발과평가1), 사회복지실천기술론1), 지역사회복지론1), 연구(조사)방법론, 부부상담, 집단상담2), 가족(정)과지역사회, 여성과교육, 여성과리더십, 여성주의상담, 사회복지실천론1), 위기개입론, 사례관리론1) | 3과목 이상 | 2과목 이상 | |
은 현재 사회복지학과에 개설되어 있는 과목임
은 현재 상담심리학과에 개설되어 있는 과목임
은 현재 아동학과에 개설되어 있는 과목임 (가족과문화 : 2015-1개설)
아래 교과목은 각 영역에서 하나의 동일 교과목으로 처리됩니다.
핵심과목 : 가족상담및가족치료 / 가족치료
기초이론 : 아동복지론 / 청소년복지론
| 관련교과목 | 동일교과 인정 교과목 |
|---|---|
| 가족상담(및치료) | 가족상담2) |
| 비영리기관운영관리 | 공공가정경영, 사회복지행정론1) |
| 상담이론 | 상담심리학, 상담(의)이론과(및)실제2) |
| 연구(조사)방법론 | 사회복지조사론1), 여성학방법론, (아동가족)연구방법론, 상담연구방법론, 연구및조사방법, 생활과학연구법, 가정(관리)학연구법, 사회조사방법론 |
| 보육학 | 보육학개론(특론)3) |
| 인간발달 | 발달심리(학)2) |
은 현재 사회복지학과에 개설되어 있는 과목임
은 현재 상담심리학과에 개설되어 있는 과목임
은 현재 아동학과에 개설되어 있는 과목임건강가정현장실습은 필수가 아님
현재 건강가정사 자격증은 국가에서 나오는 자격증이 아니라 자격인증제도로서 자격증이란 증서가 따로 발급되지 않고 있으며 개인 성적증명서를 통해 건강가정사를 취득하기 위한 교과목을 이수했는지를 판단하여 건강가정지원센터쪽으로 취업을 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건강가정지원센터(http://www.familynet.or.kr) (대표번호: 1577-9337)로 문의 바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