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PBL 개념과 정의
- Industry-coupled Problem-based learning의 약어로, 대학-산업의 연계를 통해 사회현장에 기반한 문제해결과 협력에 목표를 둔 혁신적 대학교육 모델
- PBL을 시대적 요구에 부합한 현장 연계 특화형 IC-PBL로 특성화하여
적용
- 비구조화된 실제적 문제해결에 적용 가능한 전공간 융합형 실천 지식 함양
- 대학 전공별 진로와 연계된 사회 현장, 산업으로부터 ‘OUTSIDE IN’을 통한 과제도출과 교육목표 수립
-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자기주도적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과목선정
- 과목 계획안을 접수하여 IC-PBL 적합한 과목 선정
- 수강인원 조정
- 절대평가 적용
시나리오 개발
- 수업내용에 맞는 현장 산업체 탐색
- 실제 과업주제를 산업체로부터 받아 PBL 시나리오로 개발
문제 해결 과정
- 해당 문제와 관련된 산업체의 자료 학습자 제공
- 학습 중간 보고자료
- 산업체 담당자 검토
평가
- 해당 문제와 관련된 산업체의 자료 학습자 제공
- 학습 중간 보고자료
- 산업체 담당자 검토
교육과정을 통한 IC-PBL구현 체계 정립
(Industry Coupled Project Based
Learning)
- IC-PBL(Industry Coupled Project Based Learning)과목은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여 운영
- 새내기웨비나와 Capstone Design(졸업프로젝트)는 현재 필수로 운영 중
- [현장연구] 과목을 각 전공에 추가하여 IC-PBL연계 체계 완성
- 현장 및 직무 역량 함양을 위해 졸업프로젝트를 Capstone Design 으로 운영 예정
역량 체계 안내역량 체계 | 중점 역량 | 실현 교육 |
---|
Capstone (300~400레벨)
| 프로젝트(Projective) | 전공 교과의 졸업프로젝트 |
---|
제작(Compositive) | 전공 교과의 글쓰기, 짓기, 코딩 중점 교과 |
Milestone (200~300레벨)
| 현장연구(Action-Learning) | 전공 Capstone 교육과정의 Action-Learning 중점 교과 |
---|
창의(Creative) | 전공 교과의 창의 중점 교과 |
Stepstone (100~200레벨)
| 직무(Up-Skilling) | Up-Skilling 중점 교과 |
---|
미래(Re-Skilling) | Re-Skilling 중점 교과 |
글로벌(Global Citizenship) | Global Citizenship 중점 교과 |
Foundation (100~200레벨)
| 인문(Art Humanities) | 인문 영역의 고전 읽기 중점 교과 |
---|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 | 비즈니스사업디자인, 이러닝학업디자인 |
평생학습(Lifelong Study) | 새내기웨비나, 이러닝학업디자인 |
- IC-PBL(Industry Coupled Project Based
Learning) 구현
- CDP(Career Development Program) 역량 지표로 연계
- 평가 및 루브릭 설계를 통한 반영